사업을 하는 입장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나 전자계산서 발급을 하기 위하여 공동인증서가 꼭 필요합니다.
참고로 전자세금계산서와 전자계산서는 형식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점이 있는데요.
쉽게 이야기 해보자면 전자세금계산서의 경우에는 부가세가 포함된 항목이라고 한다면 전자계산서는 면세 항목이라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자계산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구 공인인증서라고 불리는 것이 꼭 필요한데 오늘은 개인사업자 기준으로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을 손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은행 사이트 인증센터 접속
가장 먼저 자주 이용하는 은행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본격적인 로그인을 하기 전에 윗 부분에 살펴보면 대부분 '인증센터'라는 카테고리가 보이는데요.
우리는 여기에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만 공동인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저는 우리은행을 기준으로 설명 드려 보겠습니다.
이렇게 인증센터에 접속하고 나서 보이는 메뉴 중에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누른 뒤 '공동인증서 안내' 부분을 찾아봅니다.
2. 전자세금용 vs 범용 공동인증서
먼저 인증서 종류를 살펴보면 크게 용도제한용과 범용 공동인증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범용 인증서의 경우에는 용도에 따른 제한 없이 모든 곳에 사용이 가능하며 이 안에는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발급을 비롯하여 인터넷뱅킹 등 업무처리를 수행하는데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용도제한용의 경우에는 인증서별로 지정된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한데 전자세금용 인증서라고 하여 세금계산서 한정으로 필요할 때 이 인증서를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이 아니라 전자계산서 발급을 요구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범용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3. 개인사업자 범용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이제 다시 메뉴 카테고리에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누른 뒤 발급/재발급 메뉴로 들어옵니다.
인증서 종류는 '개인 범용 공동인증서'를 결정하고 연간 4,400원의 비용으로 발급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고지사항에 따라 약관의 동의를 시행한 다음에 사용자 본인 확인에서 정보를 입력합니다.
다음 발급 수수료를 결제한 다음에 이렇게 발급된 공동인증서를 pc나 스마트폰 등 선택하여 저장하게 됩니다.
은행 외에도 범용 개인 공동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 곳이 있는데 한국정보인증을 통한 발급도 가능합니다.
이때에는 은행 계좌가 없더라도 발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마찬가지로 결제 수수료를 지급한 뒤 발급, 저장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그외 발급 방법으로는 금융결제원을 이용해 발급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 험블라이언 제빵소 센스 있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 (28) | 2025.03.22 |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2가지 - QR 및 IC 방식 (7) | 2025.03.19 |
데이식스 광주 콘서트 취켓팅 성공 첫콘 다녀온 찐후기 (16) | 2025.03.16 |
아이 보험 자녀 의료보험 번호 기관 종류 초간단 확인방법 (21) | 2025.03.05 |
대전 카페엔앤디 베이커리 맛있는 도안동 대형카페 (27)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