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건강정보

실리악병 나타나는 증상 치료 무서운 합병증은?

by 소봄봄 2025. 4. 8.
반응형

 

실리악병은 유전적 소인을 가진 개인에서 글루텐 섭취로 인해 소장에서 면역 반응이 유발되어 장 점막이 손상되는 만성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영양소 흡수 장애가 발생하며, 다양한 소화기 및 전신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실리악병을 지금부터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리악병 증상

 

셀리악병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소화기 증상과 비소화기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소화기 증상

  • 설사: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묽은 변.
  • 복부 팽만감: 가스 증가로 인한 복부 불편감.
  • 복통: 식후 또는 식사와 무관한 복부 통증.
  • 체중 감소: 영양소 흡수 장애로 인한 체중 감소.

(2) 비소화기 증상

  • 피로감: 만성적인 피로 및 무기력.
  • 빈혈: 철분 흡수 장애로 인한 철결핍성 빈혈.
  • 골다공증: 칼슘 및 비타민 D 흡수 저하로 인한 골밀도 감소.
  • 피부 질환: 포진상 피부염

 

 

 

 

 

2. 실리악병 진단

 

셀리악병의 진단은 임상 증상, 혈액 검사, 유전적 검사, 그리고 소장 생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혈액 검사

  • 항-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tTG-IgA): 셀리악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혈청학적 검사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습니다.
  • 항-내강 항체(EMA): 특이도가 높은 검사로, tTG-IgA 검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총 IgA 수치: IgA 결핍이 있는 경우 위의 검사들이 위음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총 IgA 수치를 함께 측정합니다.

(2) 유전적 검사

  • HLA-DQ2 및 HLA-DQ8 유전자 검사: 셀리악병 환자의 대부분이 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나, 이 유전자의 존재만으로 질병을 확진할 수는 없습니다.

(3) 소장 생검

혈액 검사에서 양성 소견이 나타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소장 점막의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여기서 융모 위축, 크립트 과형성, 상피 내 림프구 침윤 등의 특징적인 병리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실리악병 치료

 

셀리악병의 유일한 치료법은 평생 동안 엄격한 글루텐 프리 식이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장 점막의 회복을 촉진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1) 허용되는 식품

  • 쌀, 옥수수, 감자, 콩류: 자연적으로 글루텐이 없는 곡물 및 전분.
  • 과일 및 채소: 모든 신선한 과일과 채소.
  • 육류 및 생선: 가공되지 않은 순수한 육류와 생선.
  • 유제품: 우유, 치즈, 요거트 등, 단 개인에 따라 유당 불내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피해야 할 식품

  • 밀, 보리, 호밀: 이들 곡물로 만든 모든 제품.
  • 맥주, 에일: 보리로 만든 알코올 음료.
  • 가공식품: 소시지, 소스, 드레싱 등 숨겨진 글루텐이 포함될 수 있는 제품.

(3) 영양 보충

초기 진단 시 영양 결핍이 있는 경우 철분, 칼슘, 비타민 D, 비타민 B12 등의 보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실리악병 합병증

 

글루텐 프리 식이를 철저히 지키지 않을 경우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영양 결핍: 지속적인 흡수 장애로 인한 비타민 및 미네랄 결핍.
  • 골다공증: 칼슘과 비타민 D 흡수 저하로 인한 골밀도 감소.
  • 불임 및 유산: 여성에서 생식 능력 저하 및 임신 합병증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