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꿀 정보

gtt계산 임상 실전 손쉬운 약물계산 방법

by 소봄봄 2025. 1. 19.
반응형

 

실질적으로 gtt계산은 간호 학생부터 임상에 있는 간호사까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부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에서는 약물 용량을 계산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고 있는 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요.
단 1ml 용량에도 불구하고 잘못 투여될 경우 환자에게는 큰 위해가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gtt계산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gtt 뜻

 

일반적으로 gtt는 수액처방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데요.
방울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guttae'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gtt 하면 1분당 떨어지는 방울수를 나타낸다고 이해할 수 있답니다.

 

 

 

 

 

 

 

2. 분당 방울수

 

기본적으로 수액처방에 있어서는 분당 방울수에 집중할 수 있는데요.
아까 말했듯 gtt가 방울수라고 하니 gtt/min의 경우 분당 방울수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어요.
성인 표준 수액세트의 경우에는 20drop으로 체크해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20drop은 20gtt, 그러면 1분에 20방울이라는 의미가 된답니다.
그리고 1gtt/min의 경우 1분에 1방울이니 60초에 1방울로 이해할 수 있어요.
만약 10gtt/min이라면 1분에 10방울이라는 의미가 되니 6초에 1방울로 이해할 수 있겠지요?

 

 

 

 

3. cc/hr

 

그렇다면 gtt를 cc/hr로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임상에서는 dosi flow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cc/hr을 쓰는 경우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gtt로 처방이 난 수액속도를 cc/hr로 변환할 때 필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수액세트에는 1ml가 1cc 그리고 20drops라고 쓰여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말인 즉슨, 1ml가 20방울이라는 셈이겠지요?
그럼 1방울은 0.05cc라고 이해할 수 있답니다.


결과적으로 1시간은 60분이며 1분에 60분을 곱한 값은 0.05cc에 60을 곱한 것으로 3cc/hr이 나오게 돼요.
그리하여 gtt계산에 3을 곱하면 cc/hr로 손쉽게 환산을 해볼 수 있게 된답니다.
한 가지 예시로 10gtt라면 30cc/hr로 이해할 수 있고 40gtt라면 120cc/hr로 이해할 수 있는 셈이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