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꿀 정보

2024년 올해 장마기간 7월 8월 예상, 장마 준비사항

by 소봄봄 2024. 7. 4.
반응형

 

요즘 비가 부쩍 오는 날이 많아지면서 2024년 올해 장마기간에 대한 소식도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장마가 시작되면 꿉꿉한 날씨와 함께 하늘에 구멍이 난 것처럼 쏟아지는 폭우로 정신이 없을 듯 합니다.

7월, 8월 올해 장마기간을 점검해 보면서 장마에 대한 준비사항도 체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4년 지역별 장마기간

 

2024년 지역별로 알려진 장마기간은 총 3군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중부지방의 경우에는 6.17일부터 7.19일까지 시작되었다가 6.30-8.16일 종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남부지방의 경우 6.10-7.9일 장마가 시작되었다가 6.30-8.8일 종료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6.10-7.5일 장마에 접어들었다가 7.1-8.3일 장마가 끝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2024년 올해 장마기간 강수량

 

보통 장마는 6월 말부터 시작하여 7월 말에 종료되는 것이 전국적으로 알려진 평균이었는데요.

일반적으로 1년동안 장마기간에는 15-20%의 강수량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수도권 중부지방 및 남부지방의 경우 각각 31일 정도로 그 중에서 강수일수는 17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평균 강수량의 경우 340-370mm가 평년값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열대야 현상까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상청의 전망에 의하면 이번 장마기간동안에는 비가 평년보다 적게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하고 있는데 장마가 끝나고 난 뒤에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였습니다.

 

 

 

 

 

 

3.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

 

장마는 한국과 일본, 중국의 동아시아에서 여름철에 비가 무섭게 내리는 날씨의 지속을 의미하는데요.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에는 장마전선에서부터 시작을 해볼 수 있어요.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있는 오호츠크해 기단 및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있는 북태평양 기단이 만나는 중심이 한반도 근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의 영향으로 저기압성 비구름이 형성이 되는데 북측, 남측이 서로 대치하는 기간을 장마라고 볼 수 있는 셈입니다.

 

 

 

 

 

 

4. 장마기간 준비사항

 

장마기간에는 조금만 대처해도 불쾌함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사전에 준비해야 될 사항들을 점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외출할 때에는 귀찮더라도 비에 젖지 않도록 우산이 필수입니다.

접어 쓰는 우산은 강한 바람에 뒤집어지기 쉬우니 튼튼한 우산이 좋습니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들에게는 차 내부에 공기순환기구를 배치하는 것도 준비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비오는 날에는 습기가 차기 쉽기 때문에 운전 시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유가 있다면 비옷과 방수 신발 착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다양한 디자인에 기능성까지 뛰어난 제품들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자기기나 중요한 서류 등은 비에 젖지 않도록 방수팩에 넣어 보관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